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KAFB2B

2025년 08월 26일 by 우정우주정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KAFB2B 완전 분석

한국 농수산물 유통 혁신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KAFB2B가 전통적인 도매시장의 한계를 극복하며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KAFB2B의 핵심 서비스와 특징, 거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KAFB2B란

KAFB2B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운영하는 세계 최초의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으로, 2023년 11월 30일 출범했습니다. 농수산물 도매유통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다양한 유통주체가 참여하여 거래단계는 축소되고 유통비용은 감소하는 전국단위 온라인 도매 플랫폼입니다.

기존 오프라인 도매시장과 달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상물분리(先거래 後물류) 방식을 도입하여 물류를 최적화했습니다. 이는 기존 상물일치 방식에서 벗어나 거래 후 상품을 이동시키는 혁신적인 시스템입니다.

주요 서비스 내용

거래 시스템 특징

KAFB2B의 가장 큰 특징은 판매수수료 제로구매대금 30일 무이자 여신 제공입니다. 판매자에 대한 플랫폼 이용 수수료(거래 금액의 0.3%)를 3년간 면제하고, 구매자 대상 특별 보증보험증권 제공 및 일부 보험료 환급도 지원합니다.

거래 가능 품목

현재 KAFB2B에서 거래 가능한 품목은 총 20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농산물 129개: 청과 104개(과실류 17개, 엽경채류 23개 등), 양곡 15개, 약용작물 10개
  • 축산물 7개: 돈육, 한우, 육우, 젖소, 닭고기, 계란, 깐메추리알
  • 수산물 49개: 냉동 23개, 건제품 18개, 활 해면어류 4개 등
  • 가공식품 14개: 농림가공 3개, 수산가공 11개
  • 화훼류 3개: 장미, 국화, 백합

거래 주체

판매자 자격은 연 거래 규모 50억원 이상의 생산자단체·법인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산지조직이 직접 판매자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는 소비지 대량수요처가 직접 구매자로 참여 가능하며, 기존 중도매인과의 거래도 가능합니다.

거래 현황 및 성과

KAFB2B는 출범 9개월 만인 2024년 8월 20일 기준으로 누적 거래액 2,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특히 2024년 6월 17일 1,000억원을 넘어선 후 단 2개월 만에 추가로 1,000억원의 실적을 올리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여름 제철농산물인 복숭아와 자두 등의 거래가 활발히 이뤄진 결과로 분석됩니다. 온라인도매시장의 조기 안착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인센티브와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추가 서비스

KAFB2B는 기본적인 도매거래 외에도 원료 농산물 계약재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매수 및 매도 희망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희망정보 등록 기능과 전자문서 및 전자서명 통합 플랫폼을 적용한 전자계약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또한 로컬푸드 배송 가능 지역 정보도 제공하여, KAFB2B 플랫폼에 출하되는 상품과 바로정보 시스템에 등록된 농가정보를 연계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